“한국 비중을 축소하라.”

전 세계에서 4조7000억 달러(약 5600조원)의 자산을 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낸 권고다.

 

지난 17~18일 홍콩에서 열린 ‘블랙록 아시아미디어포럼’에서다. 블랙록의 앤드루 스완 아시아증시 담당 책임자는 “최근 기술 트렌드가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바뀌면서 기존 스마트폰 분야 성장이 주춤하고 있다”며 “기술산업(특히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대만에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폰 단말기 제조만으론 성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소프트웨어로 산업구조를 시급히 바꿔야 하는데 그 속도가 더뎌 투자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하반기 한국 시장은 어떻겠느냐는 물음에도 그는 “올해 일본 엔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단기간) 회복될 수 있으나 한국의 근본적인 투자 유인은 (아직) 부족해 보인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한국의 개별 종목(기업)으로 범위를 넓혀 투자 기회를 찾고 있다”고 여지는 남겼다. 현재 블랙록은 전체 자산의 8%를 한국이 포함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투자하고 있다.

 

다만 최근 다시 불거진 중국 경제 경착륙 우려에 대해선 낙관적 시각을 보였다. 특히 아시아에서 열리는 행사엔 처음 참석한 블랙록의 수장인 래리 핑크 회장은 “중국 경제의 거품 붕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올해 초 중국 부채가 급증하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졌다. 중국의 1분기 총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30%를 넘어서면서다. 그러나 핑크 회장은 “중국이 공산품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탈바꿈하려는 노력이 매우 인상적”이라며 “중국 정부가 서비스 중심 경제로 빠르게 변하기 위해서는 더 공격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서구 선진국도 산업 구조를 변화시켜 정착하는 데 50년이나 걸렸다”며 “중국의 성장 둔화나 부채 증가 등은 경제 구조가 변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핑크 회장은 오히려 “여행가방 3개를 들고 해외여행을 떠난 중국 관광객이 가방 5개를 가지고 귀국하더라”며 한층 커진 중국인의 구매력과 앞으로 커질 중국 내수시장을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핑크 회장은 중국에 대한 낙관론과는 달리 유럽과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유럽과 일본이 중심이 된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전 세계 7조 달러에 이르는 국채가 마이너스 수익률로 거래되고 있다”며 “기업들이 번 돈, 많은 사람이 저축으로 모은 자산가치까지 훼손시키는 꼴”이라고 했다. 이어 “사람들이 낮은 이자 수익 탓에 저축을 늘리면서 소비는 줄 것이고, 노후대책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핑크 회장은 오히려 금리 정책을 펼치는 중앙은행보다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재정의 역할이 중요해진 건 중국·일본·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라고 한 그는 “정부가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인프라 투자 등 확장적 재정 정책을 직접 들고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래리 핑크=캘리포니아대 졸업 후 뉴욕 소재 투자은행 퍼스트 보스턴에서 채권투자 전문가로 이름을 날렸다. 98년 미국 뉴욕 한 사무실에서 8명의 직원으로 블랙록을 창업한 그는 이제 4조7000억 달러를 굴리며 6개 대륙에서 1만여 명의 임직원을 거느린 자산운용사의 수장이 됐다.

 

T 칼럼 "금융위기 이후 유동성 지수 최악…각국 정부도 구조조정에 적극적"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아시아 지역 기업들의 구조조정 가능성이 커지면서 파산전문가들이 이 지역으로 몰려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니퍼 휴스 파이낸셜타임스(FT) 아시아 자산시장 에디터는 19일(현지시간) 칼럼을 통해 아시아 지역의 경기가 둔화하고 기업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져 파산과 워크아웃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구조조정 위기는 수치로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 알릭스파트너스가 구조조정 횟수가 증가하는 것 같으냐고 물은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0%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도 70%보다 한참 높아진 것이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의 '유동성 스트레스 지수'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디폴트(채무불이행) 비율도 5년여 만에 최고로 상승했다.

아시아 각국 정부도 자국 기업의 구조조정·파산을 용인하고 있다.

그간 채무불이행 위기에 내몰렸던 기업들에 긴급 구제를 해줬던 중국은 최근에는 국영기업이라 할지라도 파산하도록 내버려두고 있다. 인도에서는 이달 새로운 파산법을 통과시켰다.

한국은행은 지난주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발표하면서 향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파급되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영향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구조조정 전문가들은 위기에 처한 기업들이 현금이 다 바닥나기 전에 방안을 마련할 것을 강조하지만, 아시아 기업들은 대개 최후의 순간까지 버티는 것도 문제다.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많은 기업이 줄줄이 파산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전세계 파산전문가들은 속속 아시아로 향하고 있다.

파산전문가 요제프 아타나스는 다음 달 홍콩으로 향할 계획이라며 "어떤 일이 일어나든 간에 우리는 바빠질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주식투자시 재무재표를 필히 확인해야함을 ....

- 최고의 알짜 주식은 .... 재무재표상 !!!

대출이 별로 없는 기업!!!!

 

그 기업에 .....

 

투자 하는것이 현명할듯 !@!!

 

분명 기업도 ... 빈익빈부익부 가 될듯 !!

잘된기업 더 잘되고....

안되는기업은 그 잔존가치마져 /////

 

 

 

by DICE쥔장 2016. 5. 20. 22:23